건설수주 1년 새 반토막… 13년 만에 최대 폭 감소

입력:2024-03-05 04:06
공유하기
글자 크기 조정

부동산 PF사태·고금리 등 부담
1월 전산업 생산·소비는 호조

윤웅 기자

향후 건설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건설 수주가 지난 1월 13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부진했던 소비와 건설 공사 실적 등이 다소 회복세를 보였지만 본격적인 경기 회복 국면으로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산업 생산지수는 113.8(2020년=100)로 전월보다 0.4% 늘었다.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최근 빠르게 회복한 반도체 생산이 기저효과 등에 8.6% 줄어드는 등 광공업생산이 감소했지만, 건설업(12.4%) 생산 등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건설기성 투자는 토목(12.8%), 건축(12.3%) 실적 증가에 12년 1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늘었다. 소비도 개선세를 보였다. 지난 1월 소매판매(소비)는 화장품 등 비내구재(2.3%)에서 판매가 늘며 전월 대비 0.8% 올라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그동안 침체됐던 내수 경기 지표가 호조세를 보인 셈이다. 다만 정부는 경기 회복국면에 들어섰다고 보는데 신중한 입장이다. 회복세를 보인 지표들이 일시적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건설기성의 경우 올해 초 LNG(액화천연가스) 터미널 공사, 서울 개포동 재건축 아파트의 마무리 공사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향후 건설 경기를 가늠케 하는 건설 수주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6% 급감했다. 공사계약 건수 기준인 건설수주 통계는 변동성이 큰 편이지만, 이 정도 급감은 2010년 10월(58.9%) 이후 13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주택 등 건축(-47.7%)과 토목(-60.0%)에서 모두 줄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 여파로 건설 경기 자체에 부담이 있는 상황”이라며 “금리 인하 시기가 아직 오지 않아 건설업계도 자금 조달에서 문제가 생겼을 것이고, 최근 1년여간 공사비용이 많이 늘어 건설업계가 겪는 어려움이 크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가 크게 줄어든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지난 1월 설비투자는 5.6% 감소해 지난해 7월(-8.6%) 이후 6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향후 경기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100.3으로 전월과 같았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비, 건설 지표의 개선은 긍정적이지만 1월 일시적 요인 등의 영향을 고려할 때 향후 경기의 추이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클릭! 기사는 어떠셨나요?
국민일보가 꼼꼼히 읽어보고 선정한
오늘의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국민일보 신문구독

핫이슈 페이지에서 최신 이슈와 트렌드를 따라잡으세요!
HOT Issues핫이슈 주제와 관련된 기사를 모아볼 수 있는 코너입니다
尹 파면 이후

국민의힘이 조기 대선 구도를 ‘개헌 대 반개헌’으로 전환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찬성하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찬탄 대 반

관세 쇼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글로벌 관세 폭탄 여파가 7일 국내 증시를 강타했다. 코스피는 관세발(發)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5.57% 급락해 하루 만에 100조원 넘는 시

조기 대선 정국

반탄(탄핵 반대)파 대표 주자인 홍준표 대구시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 레이스의 출발선에서 다른 주자들보다 빠른 걸음을 내딛고 있다. 홍 시장은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