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여파가 배터리 업계로 번지고 있다. 화재 원인으로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가 지목되면서 안정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소방당국, 업계 등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SK C&C 판교캠퍼스 A동 지하 3층의 전기실에서 보관하던 예비 배터리로부터 시작됐다. 이 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이고, 제조사는 SK온으로 알려졌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이사는 19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카카오에서 화재를 일으킨 배터리의 제조회사를 직접 언급하기는 처음이다. SK온 측은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이 나오지 않은 만큼 신중한 입장이다. 다만 긴장한 기색이 역력하다. 경찰 조사 결과에 집중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발화 지점은 리튬배터리이지만, 발화 원인은 아니다. 배터리 자체 문제인지, 외부 요인인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여서 SK온 입장에서도 조심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화재 원인이 배터리라고 결론이 나면 전체 배터리 산업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데이터센터에서는 주 전원이 멈췄을 경우를 대비해 추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UPS를 구비한다. 여기에 배터리가 쓰인다. 그동안 납축전지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성능 등을 이유로 리튬이온배터리를 쓰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기존 납축전지보다 에너지밀도가 2배 이상 높아 더 많은 전기를 담을 수 있다.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문제는 화재 위험성이다. 다수의 배터리를 밀집하면 ‘열폭주’ 및 화재 전이 위험성이 높아진다. 열폭주는 배터리팩 손상 시 내부 온도가 순식간에 치솟으면서 불이 번지는 현상이다. 한번 불이 붙으면 진화는 어렵다. 이번에도 화재 진압에 상당히 애를 먹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리튬이온배터리 수요가 폭증하면서 관련 화재 사고가 늘어나는 만큼 이를 대비할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위험성은 늘 있기 때문에 화재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 기반 설비의 분리·격리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화재가 발생할 수는 있다. 하지만 화재가 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의 한 전문가도 “서버, 백업 시스템 관련 전원공급장치는 독립적인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